2011년 12월 31일 토요일

linux_bashrc_profile_info

테스트환경 : CentOS 5.x
 
/etc/profile, ~/.bash_profile, ~/.bashrc, /etc/bashrc 파일들은 장치 관리 및 사용자 환경을 위한 설정파일 입니다.
위 파일들의 차이점을 알기위해선 먼저 login shell과 non-login shell을 알아둬야 합니다.
* login shell : 처음 리눅스를 부팅하고 터미널을 켰을 경우 특정 shell로 접속이 되면 login shell
* non-login shell : 터미널을 켰을 때 특정 shell로 들어가지 않고 직접 sh 등의 명령어로 특정 shell에 들어가야 할 경우 non-login shell
예를 들어 java 환경변수를 잡을 때 non-login shell일 경우 .bashrc 파일을 이용해야 합니다.
 
* login shell (profile)
시스템에 로그인하면 login shell로 동작한다고 보면 됩니다. bash는 login shell로 동작할 때 profile을 읽습니다.
(로그인 시 /etc/profile을 먼저 읽고 이후 홈디렉토리의 ~/.profile을 읽음)
- /etc/profile
: 시스템 전역(모든 사용자)에 대한 환경설정 파일. 로그인시 설정 내용을 읽어들임. 시스템 전반적인 환경값들을 설정.
- ~/.bash_profile
: 개인 사용자에 대한 환경설정 파일. 로그인시 설정 내용을 읽어들임. 각 사용자 환경에 맞는 설정.
 
bashrc 파일을 수정해도 로그인 할 때 반영되는 이유는 /etc/profile이 /etc/bashrc 파일을 읽어오고
~/.profile이 ~/.bashrc 파일을 읽어오도록 구현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 interactive (rc file)
bash가 아닌 다른 shell에서 bash를 호출할 때 interactive로 동작합니다. 이 때 bash는 rc file을 읽습니다.
- /etc/bashrc
: 시스템 전역(모든 사용자)에 대한 환경설정 파일. 새로운 bash가 실행될 때 마다 내용을 읽어들임.
- ~/.bashrc
: 개인 사용자에 대한 환경설정 파일. bash가 실행될 때 마다 내용을 읽어들임.

/etc/profile은 부팅후에 적용되며
~/.bash_profile은 재로그인 하면 적용되나
source 명령어를 이용하여 바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 CentOS 5.x 에서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읽습니다.

- 확인방법 : 각각 파일의 처음부분과 마지막 부분에 다음과 같이 디버깅 합니다.
echo '.bashrc start' >> /tmp/login_process.txt ## 처음부분
echo '.bashrc end' >> /tmp/login_process.txt  ## 마지막부분
/etc/profile start
/etc/profile end
.bash_profile start
.bashrc start
/etc/bashrc start
/etc/bashrc end
.bashrc end
.bash_profile end

ubuntu_configuration path

경로확인 (실행파일)
aaa@ubuntu:~/dev$ which java
/usr/bin/java

aaa@ubuntu:~/dev$ whereis java
java: /usr/bin/java /usr/share/java /usr/share/man/man1/java.1.gz

개인이 설정한 path
aaa@ubuntu:~/dev$ echo $PATH
/usr/local/sbin:/usr/local/bin:/usr/sbin:/usr/bin:/sbin:/bin:/usr/games:/home/yemharc/dev/android-sdk/platform-tools:/home/yemharc/dev/android-sdk/tools

시스템에 설정된 path
aaa@ubuntu:~/dev$ cat /etc/environment
PATH="/usr/local/sbin:/usr/local/bin:/usr/sbin:/usr/bin:/sbin:/bin:/usr/games"
LANGUAGE="ko:en"
LC_MESSAGES="ko_KR.UTF-8"


시스템 전체에 적용되는 path 수정방법
~/$ vi /etc/profile

아래 내용을 찾아 수정하세요.
JAVA_HOME=/usr/local/share/j2sdk1.4.2_03 <-예시입니다. 자기 시스템에 맞게 폴더-버전번호를 수정해주세요.
PATH=$PATH:$JAVA_HOME/bin
export JAVA_HOME

linux_tar.gz로 압축하고 풀기

압축하기

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어를 실행하여 압축 파일을 만들 수 있다. source_files에는 압축할 파일이나 디렉터리 목록을 적는데, 이때 경로에 주의한다.
$ tar cvzf filename.tar.gz source_files
실제 예는 아래와 같다.
$ tar cvzf image.tar.gz image.jpg
$ tar cvzf images.tar.gz image1.jpg image2.jpg
$ tar cvzf imagedir.tar.gz images

압축풀기

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어를 실행하여 압축 파일을 풀 수 있다.
$ tar xvzf filename.tar.gz
실제 예는 아래와 같다.
$ tar xvzf image.tar.gz
$ tar xvzf images.tar.gz
$ tar xvzf imagedir.tar.gz

옵션

tar 명령에 뒤에 따라오는 옵션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 c(Create): 압축 파일 생성
  • x(eXtract): 압축 파일 해제
  • v(Verbose): 작업 진행상황을 화면에 출력
  • z(gZip): gzip으로 압축 또는 해제
  • f(File): 압축 파일 또는 archive 장치 사용(다음에 반드시 파일명 또는 장치명이 따라와야 함)

ubuntu11.10 nateon

www.nate.com
nateon download

sudo add-apt-repository ppa:kyu419/nateon-ppa


sudo dpkg -i nate....deb

dependency....error

sudo apt-get -f install

sudo dpkg -i nate....deb


success....



2011년 12월 30일 금요일

ubuntu_apache2_tomcat7_연동하기

아파치 와 톰캣7.0(Tomcat 7.0) 을 연동시키는 방법에 관한 글입니다. 많은 분들이 당연히 연동 시켜야 한다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톰캣 자체에 웹서버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꼭 해줄 필요는 없습니다. 

그렇다면 왜 해주는 것인가? 하는 의문이 들 수 있습니다. 톰켓 자체는 서블릿과 JSP 해석에 일을 집중시키고 아파치 자체는 html 과 그외 나머지 리소스를 처리하게 해주는 식으로 분산 시켜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고작 저 따위 이유로  많은 분들이 설정하느라고 고생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손쉽게 따라하기로 연동시켜보기로 합니다. 

1. 아파치 설치하기 

$ sudo apt-get install apache2

2. 톰캣 설치하기 

$ sudo apt-get install tomcat7 tomcat7-docs tomcat7-admin tomcat7-examples

  설치해두면 언젠가는 쓸모가 있으니 한꺼번에 설치해줍니다. 

3. 제대로 설치됐는지 확인해보기 

   http://localhost  와 http://localhost:8080 

  으로 페이지가 제대로 뜨는지 확인해 줍니다. 만약 페이지가 제대로 뜬다면 apache2 와 tomcat7 은 제대로 설치된 것입니다. 

4. 톰캣 과 아파치를 연결시켜주는 커넥터(Connector) 설치하기

$ sudo apt-get install libapache2-mod-jk

5. 커넥터 설정 

$ sudo emacs /etc/libapache2-mod-jk/workers.properties

   로 열어서 안의 내용을 보면 

workers.tomcat_home=/usr/share/tomcat6

   이것을 실제로 톰캣이 깔려 있는 곳으로 바꾸어 줍니다. tomcat7 에는 

  workers.tomcat_home=/var/lib/tomcat7

  로 바꼈습니다. 그리고 worker.list=ajp13_worker 이 항목을 기억하셔야 합니다. 

6. 톰캣 에서 커넥터와 연결시키기 

$ sudo emacs /var/lib/tomcat7/conf/server.xml 

   에서 
       <!-- Define an AJP 1.3 Connector on port 8009 -->
       <!--
       <Connector port="8009" protocol="AJP/1.3" redirectPort="8443" />
       -->

   로 되어 있는 부분에서 주석을 제거해서 

 
     <!-- Define an AJP 1.3 Connector on port 8009 -->
       <Connector port="8009" protocol="AJP/1.3" redirectPort="8443" />

   로 변경합니다. 이것은 포트 8009 로 날라오는 프로토콜(protocol)이 AJP/1.3 인 것은 8443 포트로 넘기라는 것입니다.  8443은 톰캣 서버가 처리를 하는 포트라고 보시면 됩니다.

7. 아파치 에서 톰캣 연결시키기 

$ sudo emacs /etc/apache2/sites-available/default 

   이 부분에 대한 언급이 없어서 제일 어려웠던 부분입니다. 위의 파일을 열어서 

 
       DocumentRoot /var/www
  <Directory />
    Options FollowSymLinks
AllowOverride None
  </Directory>
  <Directory /var/www/>
Options Indexes FollowSymLinks MultiViews
AllowOverride None
Order allow,deny
allow from all
 </Directory>

  인 부분을 찾아서 

DocumentRoot /var/lib/tomcat7/webapps/ROOT
<Directory />
Options FollowSymLinks
AllowOverride None
</Directory>
<Directory /var/lib/tomcat7/webapps/ROOT/>
Options Indexes FollowSymLinks MultiViews
AllowOverride None
Order allow,deny
allow from all
</Directory>

    JKMount /*.jsp ajp13_worker

 로 바꾸어 줍니다. 즉 /var/www 을 /var/lib/tomcat7/webapps/ROOT 로 바꾸어 주는 것입니다. 그리고 아래쪽에

 JKMount /*.jsp ajp13_worker 

를 추가해줍니다. 부연 설명을 하자면 아파치(apache)가 바라보고 있는 DocumentRoot 와 톰캣이 바라보고 있는 webapps/ROOT 를 같은 곳을 바라보게 해주는 것입니다. 그리고 맨 아래에 추가해 준것은 jsp 로 끝나는 파일은 ajp13_worker 를 통하라는 뜻인데  ajp13_worker 를 통해서 톰캣으로 전송하는 것입니다. 

8. 테스트페이지를 만들어 봅니다. 

$ sudo emacs /var/lib/tomcat7/webapps/ROOT/hello.jsp 

   내용은 

 
<HTML>
  <BODY>
  Hello!  The time is now <%= new java.util.Date() %>
  </BODY>
  </HTML>

  로 채우고 저장합니다. 

9. 톰캣과 아파치 재시작 (Restart)

$ sudo /etc/init.d/tomcat7 restart
  $ sudo /etc/init.d/apache2 restart

10. 브라우저에서 
 
    http://localhost  와 http://localhost/hello.jsp 로 테스트 해봅니다.



http://crazia.tistory.com/744 펌

ubuntu reference url
https://help.ubuntu.com/10.10/serverguide/C/httpd.html





2011년 12월 28일 수요일

ubuntu_android build system 환경구축

java 설치한다.

sudo apt-get install git-core gnupg flex bison gperf build-essential

zip curl zilblg-dev libc6-dev lib32ncurses5-dev ia32-libs


ubuntu_java 설치


sudo apt-get install openjdk-7-jre



sudo update-alternatives --config java


 선택       경로                                          우선순  상태
------------------------------------------------------------
* 0            /usr/lib/jvm/java-6-openjdk/jre/bin/java         1061      자동 모드
  1            /usr/lib/jvm/java-6-openjdk/jre/bin/java         1061      수동 모드
  2            /usr/lib/jvm/java-7-openjdk-amd64/jre/bin/java   1051      수동 모드

기본 사항[*]을 사용하려면 엔터, 다른 것을 사용하려면 번호를 입력하십시오: 2

java -version 때려본다..


~:/usr/local$ java -version
java version "1.7.0_147-icedtea"
OpenJDK Runtime Environment (IcedTea7 2.0) (7~b147-2.0-0ubuntu0.11.10.1)
OpenJDK 64-Bit Server VM (build 21.0-b17, mixed mode)



해당 번호를 선택한다.


ubuntu_vi editor 메모장처럼 변경하기

옌병 우분투 vi 가 거시기 하다.

허 나변경법이  있다.

terminal 에서

#cd $HOME

#vi .exrc

작성한다.

set autoindent
set number
set bs=2
set nocp

그리 고 wq

#source .exrc

다 음 vi 켜 서실행해보 라 .. 기존 의메모장 처럼되었다.






UBUNTU_JAVA 설치


sudo apt-get install openjdk-7-jre

LINUX_Hardinfo PC INFO

Hardinfo는 하드웨어정보 뿐만 아니라 운영체제(Operating System)의 정보가 표시됩니다.
가장 흥미로운 것은 벤치마크(benchmarks)까지 표시된다는거죠!!
또한 마찬가지로 html파일과 텍스트파일로 결과를 내보낼 수 있습니다.

벤치마크 종류
CPU : Blowfish, CryptoHash, Fibonacci, N-Queens
FPU : FFT, Raytracing

설치하기

우분투
$ sudo apt-get install hardinfo

페도라
$ sudo yum install hardinfo


dash home -> search  hard...

2011년 12월 27일 화요일

LINUX_ root접속

fedora는 su명령어 로접속했다.

우분투는 sudo -i  로 해 야하네


LINUX_ubuntu 11.10 한 글언어 팩설치

대시 홈 - language 검색한다 languagu support 들어가 서  install setup/delete
 로 korea 선택한다.




LINUX_ubuntu11.10 grub

아나 grub때문에 몇시간을 해멧는지 ㅡㅡㅋ
ubuntu 11.10 과  window7 설치 했는데 grub 멀티 부팅이 안됬다 밀어먹을

윈도우 7날려먹은줄 알고 무자게 겁냈다 ㅋㅋ

sudo -i 로 루트 권한들어간다.

fdisk -l로 파티션 체크한다.

system에 linux라고 되어 있는 Device Boot명을 확인한다.




mount /dev/sda5 /mnt




grub-install --root-directory=/mnt /dev/sda


재부팅 해본다.




2011년 12월 22일 목요일

LINUX_ANDROID FULL SETUP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free2824&logNo=60059481423&redirect=Dlog&widgetTypeCall=true

일단 위 사이트에서 좋은 정보를 제공하는것에 감사하게 느낀다.

이 주소에 적힌데로 따라한다.


curl https://dl-ssl.google.com/dl/googlesource/git-repo/repo > ~/bin/repo
chmod a+x ~/bin/repo



repo init -u https://android.googlesource.com/platform/manifest.git
repo 할 때./repo  도해봐 야할 듯 ㅠㅠ
 
그냥 긁어서 실행 한다. 위 주소대로 하니까 repo download와 repo명령을 실행하면 오류뜬다 
repo다운과, repo실행은 위 녹색대로 실행하자.
옌병 백날 주소대로 하니 안되드라 -ㅅ-..

fedora에 안드로이드 전체 빌드 하기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free2824&logNo=60059481423&redirect=Dlog&widgetTypeCall=true

2011년 12월 20일 화요일

Android Build System 구축



목차
1 서론
2 기본 환경 설정
2.1 git 설치 필요
2.2 xmlto 설치 필요
2.3 java 설치
2.4 gperf 설치
2.5 gcc 3.4 버전 설치
2.6 메모리 요구 사항
3 소스 다운로드
3.1 ARM용 안드로이드 소스 다운로드
3.2 x86 용 안드로이드 소스 다운로드
4 안드로이드 컴파일
4.1 ARM용 컴파일 방법
4.2 x86용 컴파일 방법
5 마치며

1 서론 #
본 페이지는 안드로이드 플렛폼 전체 컴파일에 대하여 정리한 페이지이다. 기본 내용은 안드로이드 컴파일 환경 구축 및 플렛폼 다운로드 및 컴파일 방법 그리고 커널 컴파일 방법등을 정리하였다.

2 기본 환경 설정 #
기본적으로 안드로이드 시스템을 컴파일 하기 위해서는 리눅스 환경이 필요하다. 어플리케이션인 경우는 자바로 되어 있기 때문에 꼭 리눅스가 아니라도 상관이 없다. 어플리케이션 개발은 위하여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관련 내용은 다른 파트에서 정리하도록 하겠다.

본 내용은 기본적으로 안드로이드 시스템 구현에 맞추어져 있으므로 리눅스 환경을 기반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안드로이드 컴파일 및 실행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여러 환경에서 컴파일을 해봤다.각기 여러 문제점을 발생했는데 관련하여 하나씩 소개하도록 하겠다.
  • 페도라 10
  • 페도라 6
  • CentOS 5
일단 OS 설치시는 컴파일에 필요한 사항이 거이다 들어가야 하므로 developer 버전으로 설치하는 것을 권유한다. 그래야 에러 요소가 적게 날 것이다.

2.1 git 설치 필요 #
버전 관리용 툴인 git가 있어야 기본적으로 소스를 땡겨 올수가 있다. 설치는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yum install git*

 페도라 6인 경우 git가 1.5.2인 관계로 설치가 불가능하다 기본 1.5.4 이상을 원하므로 상위 버전을 구하여 설치하도록 하자. 멀리서 찾지말고 페도라 사이트에 가서 페도라 8의 SRPM을 받아다가 다시 rebuild 해서 사용하는 것이 제일 빠르다.

 CentOS 5인 경우 git에 대한 Package를 찾을 수가 없었다. 만약 Package로 설치할려고 한다면 포기하라고 권유하고 싶다. 필자인 경우 Package를 받아서 패키징을 완성하는데 하루 걸렸다. Perl등 여러가지가 걸려서 설치가 생각보다 어려웠다. 이럴바에는 그냥 소스를 받아다가 컴파일 하는게 제일 빠를듯 하다.

2.2 xmlto 설치 필요 #
xml 관련 변경이 필요한 경우 많이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임. 이 부분 설치 필요함.
yum install xmlto

2.3 java 설치 #
안드로이드는 컴파일시 자바를 필요로 한다.
yum install java*

 페도라 6 , CentOS 인경우 패키지가 존재하고 있지 않아 sun에서 사용하는 자바가 직접 받아다 사용하였다. 직접 받기 위해서는 http://java.sun.com 이용하기 바란다.

자바 환경을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최신 JAVA를 sun 사에서 받았다면 아래와 같이 해주어야 한다. 기본적으로 sun사에서 받았을 경우 /usr/java/ 밑에 설치가 되고 각 버전중에 최신 버전을 latest 에 연결하는듯 하다. 그러므로 아래와 같이 설정하면 된다.
vi .bash_profile

export JAVA_HOME=/usr/java/latest
PATH=$JAVA_HOME/bin:$JAVA_HOME/jre/bin:$PATH
export ANDROID_JAVA_HOME=$JAVA_HOME

만약 JAVA를 yum으로 설치하였다면 각 버전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을수 있드나 방법은 동일하다 페도라 9인 경우 java-1.6.0-openjdk-devel가 설치 될것인데 이럴 경우는 다음과 같다. 참고하여서 사용하기 바란다.
vi .bash_profile

export JAVA_HOME=/usr/lib/jvm/java-1.6.0-openjdk-1.6.0.0
export PATH=.:$JAVA_HOME/bin:$JAVA_HOME/jre/bin:/home//bin:$PATH
export ANDROID_JAVA_HOME=$JAVA_HOME

 PATH를 잡을때 JAVA를 앞쪽으로 잡기를 바란다. 리눅스에서 runtime java가 따로 있다. 이게 실제 안드로이드에서 잘 안 맞는다. 그래서 컴파일이 안되므로 자바를 설정할때는 꼭 앞쪽에 넣어서 자바 페스를 정확하게 잡게 해주기 바란다.
2.4 gperf 설치 #
프로그램 컴파일 중에 에러가 발생한다. 이 페키지를 설치하면 에러가 사라질 듯 하다.
yum install gperf*

2.5 gcc 3.4 버전 설치 #
gcc 3.4 ARM용을 컴파일 할 목적이라면 안해도 된다. gcc 3.4는 x86용을 컴파일 할경우 필요한 컴파일러다. 페도라 계열은 현재 4.x 대의 gcc가 설치되어 있다. 여러 개발자들의 메일을 확인해 보면 컴파일시에 여러 에러가 발생한다고 되어 있다. 제가 확인해 본결과는 별에러는 발생하지 않았다. 물로 릴리즈 소스는 아니다. 본인은 repo에서 직접 받아다 컴파일을 하고 있다. 대다수 3.4를 권유하므로 일단 별 무리없이 컴파일 하고 싶으면 다음과 같이 설치하기 바란다.

yum install compat-gcc*

2.6 메모리 요구 사항 #
안드로이드를 컴파일 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메모리를 요구한다. 일단 메인 메모리는 1G 이상이라야 정상적으로 컴파일이 가능하다. 제가 테스트 해 본결과 구닥다리 노트북에 메인 메모리가 256MB에 스왑을 512MB로 잡고 X를 안 올린 상태에서 메모리의 8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또한 오버로 인하여 컴파일시 Kill(9) 나오면서 죽기도 한다. 그러니 정말 컴파일을 하고 싶으면 1GB 이상의 메모리에서 하기 바란다.

3 소스 다운로드 #
소스를 다운로드 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기본적인 것은 ARM용으로 컴파일 되는 소스이다. 소스 다운로드 방법에 대해서는 ARM용과 X86용인 Eee 701 버전 다운로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3.1 ARM용 안드로이드 소스 다운로드 #
git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git를 이용하여 환경을 설정하자http://android.git.kernel.org/ 에 가보면 안드로이드에 대한 open source project git가 다보인다. 만약 git로 되어 있는것중에 일부만을 받아 올경우는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git clone git://android.git.kernel.org/ + project path.
만약 전체를 다 받아오고 싶으면 repo라는 스크립트를 받아와서 다음과 같이 처리하면 된다.
mkdir mydroid
cd mydroid
repo init -u git://android.git.kernel.org/platform/manifest.git
repo sync

repo를 받는것은 다음과 같이 받으면 된다.
wget http://android.git.kernel.org/repo
chmod a+x repo
repo는 어디다가 둬도 된다. 셀 스크립트 이기 때문이다. 사용하기 편하게 자신의 안드로이드 디렉토리 한켠에 bin을 만들고 그걸 .bash_profile에 패스를 추가하자. 그리고 repo를 실행파일로 만들어 주는 것도 잊지 말자.

+--+- [bin]
   +- [mydroid]
내가 repo를 둔곳은 /android/bin 이므로 이 디렉토리를 아래와 같이 추가하였다. 마지막 부분에 export PATH를 해 주는 것도 잊지 말자.

vi .bash_profile
PATH=$PATH:/android/bin

export PATH

git를 사용할 경우 자신의 이메일과 이름을 등록해 놓고 사용하면 할때마다 쳐 넣는 삽질을 안해도 될듯 함.
$>git-config --global user.email "xxx@xxxx.com" <-- 여러분의 이메일주소
$>git-config --global user.name "Kim,HanChul" <-- 자신의 이름

이제 초기화 하자.
$>repo init -u git://android.git.kernel.org/platform/manifest.git
... 초기화 문구가 다 끝나고 나면
$>repo sync

3.2 x86 용 안드로이드 소스 다운로드 #
mkdir mydroid_x86
cd mydroid_x86
repo init -u git://android.git.kernel.org/platform/manifest.git -b cupcake
repo sync
" o:spid="_x0000_i1025">" src="file:///C:\Temp\msohtmlclip1\01\clip_image002.gif"> -b 의미를 정확하게 모르겠음. 현재 이 내용은 조금은 잘못된듯한 느낌이 있음.

참고 문헌을 뒤져 본 결과 안드로이드 X86용 정확하게 말하면 Eee 701용을 다운로드 받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mkdir mydroid_x86
cd mydroid_x86
repo init -u git://android.git.kernel.org/platform/manifest.git
repo sync

-b할 필요 없이 풀 소스를 먼저 받는다. 그리고 나서 로컬 설정을 해야 한다.
cd .repo
vi local_manifest.xml
.repo 디렉토리 내에 local 에서 원하는 것으로 컴파일 하기 위한 설정을 해야 한다.
<?xml version = "1.0" encoding = "UTF-8"?>
<manifest>
<project name="platform/vendor/asus/eee_701" path="vendor/asus/eee_701"/>
</manifest>
이제 sync를 해보자.
repo sync
----- 로그 내용 -----
[root@rainbow-pc mydroid_x86]# repo sync

Initializing project platform/vendor/asus/eee_701 ...
remote: Counting objects: 33, done.
remote: Compressing objects: 100% (31/31), done.
remote: Total 33 (delta 2), reused 33 (delta 2)
Unpacking objects: 100% (33/33), done.
From git://android.git.kernel.org/platform/vendor/asus/eee_701
 * [new branch]      cupcake    -> korg/cupcake
 * [new branch]      master     -> korg/master
이렇게 하면 뭔가를 받아오고 받아온 것을 확인해 보면
.repo/projects/vendor/asus/eee_701.git
아래 디렉토리에 eee_701 관련 부분을 받아 온것을 볼수 있다.

또한 받아온 내용은 vendor/asus/eee_701 디렉토리를 확인하면 어떤 내용이 있는지 확인이 가능할 것이다.
[root@localhost eee_701]# ls
AT_Translated_Set_2_keyboard.kcm  AndroidProducts.mk   disk_layout.conf 
init.eee_701.sh                   kernel.config        modules
AT_Translated_Set_2_keyboard.kl   BoardConfig.mk       eee_701.mk 
init.rc                           system.prop          Android.mk                       
init.eee_701.rc                   kernel               kernel.version

4 안드로이드 컴파일 #
4.1 ARM용 컴파일 방법 #
ARM 버전인 경우 컴파일 방법은 간단하다.현재 ARM용으로 필자가 특별하게 시도해본 내용이 없어서 적을 내용이 없다.
make
기본적으로 make를 하게 되면 out디렉토리에 generic이라는 기본 하드웨어로 만들어지게 된다. 아직 특별하게 설치를 해보지 않아서 사용방법에대해서는 여기로 마치겠다.

4.2 x86용 컴파일 방법 #
여기서는 좀더 내용을 나누어서 설명을 해야 하므로 링크를 따라가면서 보기 바랍니다.

안드로이드빌드_x86에는 안드로이드 x86 컴파일 방법 및 VmWare, VitualBox에 포팅한 내용이 정리되어 있습니다.

5 마치며 #
안드로이드 하드웨어가 없는 상황에서 실제 ARM을 가상 머신에 올리는 것보다는 x86용으로 올려보는 것이 좀더 의미가 있을것 같아서 필자는 그 길을 택하였다. 또한 안드로이드가 약간의 NC와 유사한 x86 PC에 탑재되는것을 희망한다. 그러한 의미에서 어쩌면 x86에 탑재해 본것은 저로써는 굉장한 흥미로웠고 포팅하는 동안 재미있었다. 많은 분들이 이 글을 읽고 시도해봤으면한다.


 http://cod.springnote.com/pages/3440849.xhtml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