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가 이제 언어를 넘어서 플랫폼으로 폼을 잡기 시작한 2001년경 자바 진영의 상황은 그다지 밝지 않았다.
MS의 닷넷 플랫폼이 거의 동일한 뭐가 틀린지 아직 잘 모르겠는 플랫폼으로 자바 진영의 영역을 대체하려고 했다.
전문가들도 양분되서 어느 것이 맞는 플랫폼인지 싸우기 시작했고,
어느 열성 닷넷 지지자들은 곧 자바는 모두 닷넷으로 교체될 것이라고 이야기 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현재로 돌아와서 결과적으로 보자면 오픈 소스 진영은 더욱 굳건해졌고,
자바는 여전히 특정 위치에서 확고한 문화로 자리 잡고 있다.
여기에는 여러 요인이 있겠지만, 그중 개인적으로는 Eclipse라고 하는 잘 생긴 녀석의 공을 이야기 하지 않을 수 없다.
닷넷 진영이 2001년경 주장하던 닷넷 플랫폼의 위대한 개발 환경은 Eclipse에 비하면
편하나 위대하지는 않다는 것이 개인적인 생각이다. '-';; 어디까지나 주관이다.
그럼 이쁜 Ubuntu와 잘 생긴 Eclipse를 만나게 해 주자.
참고로 여기서 밝히는 방법은 apt-get을 이용한 방법이 아니다. >.<;;
먼저 http://www.eclipse.org에 접속해 보자.
들어가보면 뭘 어쩌라는 것인지 헷갈릴 것이지만 설치가 우선 목적이니 Downloads를 클릭한다.
기본 Eclipse SDK를 설치해도 되겠으나, 화면 오른쪽에 Popular projects를 보면
특정 목적을 위해서 플러그인들을 포함하고 있는 녀석들이 있다.
여기서는 많이 사용하는 Web Tools를 기준으로 설명하겠고
다운받는 WTP 파일 이름이 wtp-all-in-one-sdk-linux-gtk.tar.gz으로 가정하고 설명하겠다.
아래의 내용은 How to install Eclipse in Ubuntu에서 참조하고 인용한 것입니다. '0'/
자~ 다운받은 파일을 풀어보자.
>tar xzf wtp-all-in-one-sdk-linux-gtk.tar.gz
위와 같이 풀면 eclipse 디렉토리에 내용물을 풀어 놓는다.
>sudo mv eclipse /opt/eclipse
>cd /opt/eclipse
>chmod +x eclipse
위와 같이 이동하고 설정하면 Eclipse를 사용할 준비는 다 완료되어 있는 것이다. '-';; 간단하다...
그럼 /usr/bin/eclipse를 만들어서 기본적인 Path에 기본적인 설정을 사용해서 Eclipse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하자.
>sudo vi /usr/bin/eclipse
#!/bin/sh export ECLIPSE_HOME="/opt/eclipse" $ECLIPSE_HOME/eclipse $*
>sudo chmod 755 /usr/bin/eclipse
기왕 폼 잡으려고 했으니 데스크탑 메뉴에도 추가하자.
>sudo vi /usr/share/applications/eclipse.desktop
[Desktop Entry] Encoding=UTF-8 Name=Eclipse Comment=Eclipse IDE Exec=eclipse Icon=/opt/eclipse/icon.xpm Terminal=false Type=Application Categories=GNOME;Application;Development; StartupNotify=true
위와 같이 설정해 줬다면 Ubuntu메뉴 프로그램 > 개발 > Eclipse가 생긴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럼 이제 Eclipse로 샤샤샥 즐거운 개발 놀이 시작하면 되시겠다~ ^0^~
참고로 Eclipse를 돌리는 JVM은 개인적으로는 Sun의 것을 사용하였다.
혹시 다른 JVM이 설치되었다거나 apt-get으로 Eclipse를 설치하면서 자동으로 다른 JVM이 기본 JVM으로 설정되어있다면 다음과 같이 변경할 수 있다.
>sudo update-alternatives --config java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Lw0T&articleno=6273478#ajax_history_home 사이트에서 퍼왔음
댓글 없음:
댓글 쓰기